top of page
전시전경 신정 10.jpeg

REFLECT: ·死·自·하루·섬·ㅋㅋ·류 2023
[REFLECT Dream​​·Death·Self·Day·Island·lol·Flow] 2023

REFLECT
몽·死·自·하루·섬·ㅋㅋ·류

Reflect on one’s life:

전주한벽문확 "Reflect 몽·死·自·하루·섬·ㅋㅋ·류"전에서는 김현수, 박형주, 손인선, 이주은, 장신정, 장진경, 차소림 7인의 작가가 자신의 삶 속에서 만나는 관심의 대상을 개인의 관점을 통해 관찰하고 비추어 보면서 풀어낸 이야기를 담았다. “Reflect - 삶을 관조하다”라는 공통된 행위를 중심으로 '몽 死 自 하루 섬 ㅋㅋ 류'라는 개별 코드를 제시한다. 몽: 시공을 넘나드는 꿈을 꾸고, 死: 죽음을 통해 삶의 본질을 살피며, 自: 스스로 관계하여 구축되어지고, 하루 속 ‘지금, 여기’에 집중하며, 섬을 마주하고, ㅋㅋ: 놀이와 해학을 담아내고, 류: 단절이 아닌 연결되어 흐르는 풍경을 그린다. 

 

예술행위 과정에서 힘의 논리에 의해 이행되어지는 억압과 규제가 개인과 관계 되어지는 지점을 관조한다. 사회화 과정에서 정형화되고 굳어진 관념의 틀에 순응해보지만 끊임없이 반복적으로 나를 찌르는 대상을 만나게 된다. 이를 인지하고 직시한다. 소외당하기보다는 인정과 칭찬을 받으며 무리 속에서 생존하고자 외면한 ‘나’를 회생시키기 위해 작가 개인의 관점으로 세상을 관찰하고 비추어 본다.  

 

<Reflect>전 작가 7인은 각자의 대상을 나름의 방식으로 해체시키고 자신의 언어로 풀어 어느 누구도 침범하지 않는 작가의 방에서 자신만의 독특한 세계를 펼친다. 일상의 관계 맺음으로 일어나는 충돌들을 예술이라는 감각적 행위로 승화시키는 과정에서 버려두었던 ‘나’를 찾고 미시적이며 동시에 거시적인 시각과 사고를 넘나들며 ‘나’로서 살아가는 삶을 탐닉해본다.

[REFLECT Dream​​·Death·Self·Day·Island·lol·Flow] The exhibition tells the story of seven writers observing and reflecting on the objects of interest they meet in their lives from an individual's perspective. Focusing on the common act of "Reflect - contemplating life," we present a separate code called <Dream · Death · Day · Island · lol · Flow> 

Dream: Dreaming across time and space 

Death: Examining the nature of life through death 

Self: Built in self-relationship, 

Day:focusing on 'now, here' in the day 

Island: Facing the island, 

lol: Containing play and humor

Flow: Draws a connected landscape which is not seperated.

 

It examines the point where oppression and regulation implemented by the logic of power in the process of artistic action are related to the individual. In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I adapt to the formalized and hardened framework of ideas, but I constantly encounter an object that stabs me repeatedly. Recognize this and face it. Rather than being alienated, I observe and shine on the worl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rtist's individual in order to revive myself, who turned away to survive in the group with recognition and praise.

 

[REFLECT Dream​​·Death·Self·Day·Island·lol·Flow]  The seven artists dismantle each object in their own way and solve it in their own language to create their own unique world in the artist's room that no one invades. In the process of sublimating the conflicts caused by the establishment of daily relationships into a sensory act of art, find the "I" that was abandoned and indulge in life as "I" across microscopic and macroscopic perspectives and thoughts at the same time.

[REFLECT 몽·死·自·하루·섬·ㅋㅋ·류] Exhibition Installation view

​이주은 | Lee Ju Eun

어느 날 문득 세상이 고요해졌다. 사람도 차도 아무도 없는 고요한 도시가 되었다. 두려움도 잠시,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았던 소리와 냄새와 주변이 들어온다. 덩그러니 남겨진 이의 여행이 시작된다.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는 섬을 마주하는 여정, 섬이 담고 있는 겹과 결들을 기록해본다. (이주은)

One day, the world suddenly became quiet. It became a quiet city with no people and no cars. Fear came in for a moment in blindness and deafness, but soon it became visible and audible. Sounds, smells, and surroundings get back to the present, so the journey of the person left alone begins. I tried to record the journey facing the island that slowly emerges, the layers and grains contained by the island. (Lee Ju Eun)

​차소림 | Cha So Lim

나는 억압되고 고착된 내면의 감정을 흐르게 하는 과정자체에 관심이 있다. 석고나 실 같은 재료들로 제작된 오브제 작업은 내면의 자화상이자 유동적 변화 가능성을 잠재적 형태로 표현한 것이다. 그것들은 다시 회화 안에서 또 다른 역할을 부여받아 공간을 생성시키고 주변 환경과 끊임없는 관계망을 만들어 간다. 이로써 의식과 무의식,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주체와 타자, 물질적인 것과 비물질적인 것, 현실과 환상, 우연과 필연 같은 이분법적 대립들을 융합하여 다층적 시공간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I'm interested in the process itself of letting the suppressed and entrenched inner emotions flow. The object work made of materials such as gypsum and thread is an inner self-portrait and a potential form of flexible change. They are again given another role in painting to create space and create a constant network of relationships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s a result, I would like to combine dichotomous confrontations such as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visible and invisible, self and others, material and non-material, reality and fantasy, coincidence and inevitability to express them in a multi-layered time and space. 

​장진경 | Chang Jin Kyoung

현실에서 보이는 경계선이 아닌 시간 또는 기억 속의 경계선을 넘나드는 여정을 그리고 있다. 지도와 시계를 분해하였다가 다시 이어 붙이면서 시간 또는 지리적인 경계선의 의미에 혼란이 온다. 다양한 문화 또는 민족을 상징적으로 대변하는 여러 문자들을 서로 섞기도 하고, 문자를 해체하였다가 재조립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문자는 소통을 위 한 수단이라는 기능은 사라지고 시각적인 형상만 남게 된다. 그런데 이렇게 생겨난 이미지는 그 안에 또 다른 질서체계를 형성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해체와 조합의 과정을 거치면서 새로움과 고유성의 관계를 작품들은 이야기 하고 있다.

It depicts a journey that crosses the boundaries of time or memory, not the boundaries seen in reality. As maps and clocks are disassembled and connected again, confusion arises in the meaning of time or geographical boundaries. Through the process of mixing various characters symbolically representing various cultures or ethnicities, dismantling and reassembling characters, the function of text as a means of communication disappears and only visual shapes remain. However, this image begins to form another system of order within it. Through this process of dissolution and combination, the works are talking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novelty and uniqueness. 

​김현수 | Kim Hyun Soo

한 개인이 사회화될 때 억압기제로 작동하는 거대문화(자본주의, 군사문화)의 경직된 이원성을 자연의 에너지를 빌어와 흩어버리고자 한다. 나의 작업은 사회에 속한 개인이 어쩔 수 없이 겪게 되는 갈등과 억압적 상황을 놀이로 바꿔 놓으려는 시도이다. 

I tried to disperse the rigid dualism of huge ideologies (capitalism, military culture) that acts as a suppression mechanism in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of an individual by borrowing the energy of nature. My work is an attempt to turn the conflicts and oppressive situations that individuals in society are forced to experience into play.

손인선 | Son In Sun

늘 나무를 바라보고 관찰한다. 빛과 날씨 주관적 시선에 따라 자연의 대상물은 다르게 다가온다. 나는 먹지위에 자연에서 수집한 이미지를 올리고 직관적으로 선택한 형태와 톤을 따라 선을 긋고 지우기를 반복한다. 이미지의 재현보다는 선을 긋고 지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흔적과 행위자체에 집중하기 위함이다. 화면위에 자연스럽게 생겨난 결과물에 따라 모호하고 비물질적인 세계를 상상하며 관계속의 화면을 구축해나간다.

I always look at the trees and observe them. Depending on the light and weather subjective gaze, the objects of nature come differently. I put an image collected from nature on top of carbon paper and keep drawing and erasing lines along the selected form and tone. This is rather to focus on the traces and actions that occur in the process of drawing and erasing lines than reproducing images. It builds a screen in a relationship by imagining an ambiguous and non-material world according to the results naturally generated on the screen.

박형주 | Park Hyung Ju

주변의 작은 움직임과 변화들을 지켜본다……‘지금, 여기’에 집중하면서 나는 바람의 촉감이 좋다는 것, 가만히 작은 흔들림을 바라보고 있으면 마음이 편안해진다는 것을 느끼고 알았다. 그리고 그 ‘편안함’을 작업했다.

I watch for small movements and changes around...…Focusing on 'now and here’ I feel and know that the wind feels good and that watching the small movements made me feel comfortable. I worked on that "comfortness"

장신정 | Jang Shin Jeung

탐욕과 이글대는 욕망으로 마디마디 축적된 기술과 지식은 인간 중심의 문명을 건설하였다. 제어장치가 고장 난 듯 더 높이 더 많이 쌓기 위해 내달음질치는 물질만능주의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삶의 본질에 대해 질문을 던져본다. 나는 누구인가? 우리는 무엇을 향해 달려가는가? 죽음 후 남는 유일한 물질이자 포유류로 살아가기 위해 몸을 지탱시켜주는 ‘뼈’를 쌓아 세워진 Cityscape 설치 작업을 통해 인간이 구축하고 있는 물질문명의 본질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The technology and knowledge accumulated by greed and burning desire built a human-centered civilization. As things are built higher and more as if the control system is broken, I ask questions about the nature of life as a component of a materialistic society. Who am I? What are we running for? Through the installation of Cityscape with “bone” which maintains the body to live as a mammal and is the only substance left after death, I would like to contemplate on the nature of material civilization that humans are building.

bottom of page